통합검색
질문과 답변 (20)
안녕하세요. 기존 질의 내용인 8989 번의 사항이 궁금하여 문의드립니다.아래의 내용을 보면 차단기의 ON/OFF 관련 질의 사항의 답변이 개정 예정이라고 하셨는데, 지금의 상황이 궁금하여 문의 드립니다.개정고시가 된 사항인지 확인 부탁드리겠습니다.3.IEC 표준을 도입한 누전차단기를 저압전로에 사용하는 경우 일반인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세대 내 분전반 및 이와 유사한 장소)에는 주택용 누전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하고 , 주택용 누전차단기를 정방향(세로)으로 부착할 경우에는 차단기의 위쪽이 켜짐(ON)으로, 차단기의 아래쪽은 꺼짐(OFF)으로 시설하여야 한다. <상기본문에 빨간 색부분에 관련된 질문> 1) 정방향(세로)으로가 아닌 가로방향으로 설치할경우 on/off 방향이 해당사항이 없는지 문의 드립니다. 2) 주택용 분전반 누전차단기를 정방향(세로)으로 무조건 부착을 해야하는지 문의 드립니다. 감사합니다답변글전기상담실1. 귀하의 대한전기협회 홈페이지 방문을 환영합니다. 2. 주택용 누전차단기의 정방향 시설시 켜짐(ON)이나 꺼짐(OFF)의 위치에 대한 내용은 행정예고(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2-570호, 2022.7.25)중인 사항으로 현재 시행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개정예정인 KEC의 관련조항에 누전차단기를 가로로 설치시 ON/OFF방향에 대하여는 규정하고 있지 않으며 주택용 누전차단기를 무조건 세로로 설치해야 한다는 규정도 없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귀사의 협조에 감사드립니다질의 번호 10059번 추가 질문입니다2. 개장(鎧裝)이란 케이블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케이블 외피에 추가로 어떠한 재료로 두른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콤바인덕트 케이블이란 케이블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콤바인덕트를 케이블 외피에 두른 형태로 제작된 케이블 입니다. (질의 1).이렇게 답변을 주셨는데 의미 해석이 안됩니다.실예로 케이블 + 합성수지관 + 피복을 입힌다면 이것도 콤파인덕트 케이블 인가요?(케이블을 합성수지관에 인입한 후 피복을 입히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감사합니다질의분야 : KEC > 전기 > 배전설비이○○2024.11.05 13:41138업무에 노고가 많습니다.전기상담실 >> 질문과 답변의 9989번과 연결된 질문입니다.2. KEC 334.1의 4“나”에서의 “콤바인덕트 케이블”은 케이블의 일종으로 콤바인덕트관에 넣은 케이블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케이블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콤바인덕트로 개장(鎧裝)한 케이블을 의미 합니다 (질의 1).라고 답변을 주셨는데 콤바인덕트로 개장한 케이블을 의미한다고 표현하셨는데 "콤바인덕트" 와 "개장"의 의미를 모르겠습니다. >> 케이블을 CD관에 넣고 이를 피복(컴파운드로 쉬스) 한다는 의미 인가요?추가 질문입니다>> CD관은 이중 천정내 노출배관은 사용 금지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중 천정이 아닌 건물내 노출 된 곳은 사용 가능한가요?빠른 답변 부탁 드립니다.감사합니다답변글전기상담실2024-11-061. 귀하의 대한전기협회 홈페이지 방문을 환영하오며, 귀하의 질의에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2. 개장(鎧裝)이란 케이블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케이블 외피에 추가로 어떠한 재료로 두른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콤바인덕트 케이블이란 케이블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콤바인덕트를 케이블 외피에 두른 형태로 제작된 케이블 입니다. (질의 1). 3. KEC 232.11.1의 5에 의해 합성수지관은 이중천장내 사용할 수 없으므로 CD관도 이중천장내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또한, 232.11.3의 6에 의해 CD관은 노출된 장소에는 사용이 가능합니다. (질의 2). 끝.
안녕하세요. 해당 사항 답변관련 재 질의 드립니다.답변은 첨부 참조 바랍니다.답변해 주신 사항은 제가 질의드린 문구를 그대로 주신듯합니다만, 해당 문구에 대한 의미, 작성한 목적, 현장 적용에 대한 해석 정확히 부탁드립니다.제가 질의하는 사항은 답변 주신 문구의 " 전지관리시스템과의 통신상태"에 대한 해석입니다. 문구상으로 봤을 때, 전지관리시스템과의 통신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리튬이든 납이든 감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고, 그 배터리 감시 프로그램과 UPS의 감시시스템을 연동하여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ESS와 같은 전기저장장치는 전력변환장치 감시시스템과 전지 감시시스템간의 통신으로 연결 및 연동되어 통합관리가 되는지 모르겠으나,UPS의 구성요소 중 축전지는 필수 구성요소이나 관리 시스템 (BMS : Battery Monitoring System)은 Battery 제조사 또는 BMS 제조사에서 설치하는 옵션 항목입니다.즉, UPS 감시시스템과 배터리 감시시스템은 제조사가 다르며,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연동이 불가하다는 점을 말씀드리는 부분입니다. 모든 UPS 제조사와 모든 BMS 제조사의 통신 프로토콜 및 프로그램이 상이하므로 연동이 불가하다는 점 다시한번 말씀드립니다.전기상담실의 다른 질의답변 중 전기저장장치와 무정전전원장치의 정의를 구분해놓고(첨부 참조), 기능적으로는 동일하게 적용하라고 하는 게 앞, 뒤가 맞지 않다고 판단됩니다. 협회에서도 인정하셨듯이 전기저장장치와 무정전전원장치는 엄연히 다른 시스템임을 인지해 주시기 바랍니다.KEC 문구 그대로 복사/붙여넣기의 답변이 아닌 해당 문구에 대한 현장 조치방안에 대한 현실적인 해석을 요청드립니다.리튬배터리에 대한 안전대책으로 KEC가 개정된 것은 이해하나, 문구에 대한 정확한 해석 및 현장 조치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여 답변 요청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