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상담실

전기상담실

질문과 답변

안내 (Q&A게시판 안내사항)

우리협회 업무와 관련하여 궁금하신 사항을 질문하시면 신속하고 성실하게 답변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답변내용은 참조용으로 한정 사용되며, 법적인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특정현장의 설계방법, 설계내용의 가부 판정 또는 시공방법 등에 대한 내용은 상담이 불가합니다.

공학적 계산이 필요한 부분 또는 전공교재 등의 대한 내용 문의는 상담이 불가합니다.

질문하시기전에 자주 묻는 Q&A(FAQ) 또는 통합검색(SEARCH) 기능을 통해 검색해 보시면 보다 신속하게 궁금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댓글 내용을 남겨주세요. 최대 글자수를 초과하였습니다. 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10251] 9709 [전체] 동상다조포 시 보호도체 굵기 질의 (등록일 2023.030.07) -답변 내용 정정 요청

질의분야 : KEC > 전기 > 저압배선

    • 이○○
    • 2025.03.13 13:32
    • 117

    상기 내용과 같이 "9709 [전체] 동상다조포 시 보호도체 굵기 질의 (등록일 2023.030.07) " 답변 내용에 대하여 정정 요청합니다.


    내용 (답변)

    1. KEC 142.3.2에서 보호도체의 단면적을 표142.3-1를 적용할 경우 선도체 굵기에 따라 적용해야 합니다. 질문내용의 동상다조포설은 KEC 123의 6 및 232.3.2애 의한 병렬접속으로 추정되는 바 이떄의 보호도체 의 굵기는 병렬접속에 사용된 선도체의 단면적 합계를 기준으로 선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정정 요청 내용


    1. IEC 60364-5-54 및 KEC에 병렬도체 적용 시 상도체 전체 단면적의 합계로 적용하라는 언급이 없습니다.


    2. 보호도체는 전류의 크기 및 보정계수, 전압강하등을 고려하는 대상이 아닙니다. 보호도체는 지락 고장전류가 흐르는 시간 동안 발생하는 Thermal stress를 고려하여 선정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KEC 표 142.3-1  보호도체의 최소 단면적 및 S=sqrt(I^2t)/k)


    3. 그렇다면 저항 접지 계통 (TN-S 유사)에서도  전류의 크기를 고려하여 9x1C-300sqmm 구성시, 450sqmm =>150sqmm x 3 고려하여 적용을 해야 한다는 것인지요?


    4. 지락이 발생 할 경우, 지락 전류의 특성은 고장이 난 곳으로의 귀로를 하는 특성인데,

    4-1. 각 상의 병렬 도체 중 L2상 지락 발생 시, 병렬 도체 3개 중 건전하지 않은 지락이 발생한 1 개의 도체로 고장 전류가 더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결국은 나머지 2개의 병렬도체에도 고장 전류를 흐를것이며, 결국 고장전류의 크기는 상 당 1개의 도체나 병렬로 연결된 3개의 도체나 동일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건전한 2개의 도체에 흐른 고장전류도 결국 고장점으로 향함)


    5. 그러므로,  3개의 병렬 도체 중 1개의 도체에서 지락 고장이 발생하므로,  각 상의 병렬 도체의 전체 단면적이 아닌, 개별 도체의 크기로 선정하는게 맞다고 판단됩니다. 


    (1개 상의 병렬도체 3개에서 모두 지락이 발생하더라도, 전류 분배 법칙 때문에 동일하다고 판단됩니다.)


    6. 다시 언급드리지만, "IEC 60364-5-54 및 KEC에 병렬도체 적용 시 상도체 전체 단면적의 합계로 적용하라는 언급이 없으며, 해당 기준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있다면 관련 근거를 공유 부탁 드립니다.


    7. 질의 확인 부탁 드립니다.

    답변글

    • 전기상담실
    • 2025-03-26

               1. 귀하의 대한전기협회 홈페이지 방문을 환영합니다.

     

    2. 귀하의 질의내용을 정확히 파악이 어려우나 우리협회 홈페이지 질문과답변 [8902]“동상다조포설시 보호도체 굵기 질의의 답변내용에 대해 질의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병렬도체는 도체 1상당 1가닥으로 용량이 부족할 경우 2개 이상의 도체를 서로 접속하여 시설하는 것이므로 각각을 다른 도체로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8902]의 답변내용은 보호도체를 표142.3-1에 따라 선정할 때 선도체가 병렬도체일 경우 그 병렬도체를 구성하는 각 도체의 면적 합계를 선도체의 단면적 S(, 구리)로 보고 선정하라는 의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