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상담실

전기상담실

질문과 답변

안내 (Q&A게시판 안내사항)

우리협회 업무와 관련하여 궁금하신 사항을 질문하시면 신속하고 성실하게 답변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답변내용은 참조용으로 한정 사용되며, 법적인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특정현장의 설계방법, 설계내용의 가부 판정 또는 시공방법 등에 대한 내용은 상담이 불가합니다.

공학적 계산이 필요한 부분 또는 전공교재 등의 대한 내용 문의는 상담이 불가합니다.

질문하시기전에 자주 묻는 Q&A(FAQ) 또는 통합검색(SEARCH) 기능을 통해 검색해 보시면 보다 신속하게 궁금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댓글 내용을 남겨주세요. 최대 글자수를 초과하였습니다. 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10144] 전지저장장치(UPS) 시설 관련 전력관리시스템 구성 확인 요청 - 재 질의

질의분야 : KEC > 신재생 > 전기저장장치

    • 고○○
    • 2024.12.19 09:07
    • 105

    안녕하세요. 해당 사항 답변관련 재 질의 드립니다.

    답변은 첨부 참조 바랍니다.


    답변해 주신 사항은 제가 질의드린 문구를 그대로 주신듯합니다만, 해당 문구에 대한 의미, 작성한 목적, 현장 적용에 대한 해석 정확히 부탁드립니다.


    제가 질의하는 사항은 답변 주신 문구의 " 전지관리시스템과의 통신상태"에 대한 해석입니다.


    문구상으로 봤을 때, 전지관리시스템과의 통신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리튬이든 납이든 감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고, 그 배터리 감시 프로그램과 UPS의 감시시스템을 연동하여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ESS와 같은 전기저장장치는 전력변환장치 감시시스템과 전지 감시시스템간의 통신으로 연결 및 연동되어 통합관리가 되는지 모르겠으나,

    UPS의 구성요소 중 축전지는 필수 구성요소이나 관리 시스템 (BMS : Battery Monitoring System)은 Battery 제조사 또는 BMS 제조사에서 설치하는 옵션 항목입니다.

    즉, UPS 감시시스템과 배터리 감시시스템은 제조사가 다르며,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연동이 불가하다는 점을 말씀드리는 부분입니다. 모든 UPS 제조사와 모든 BMS 제조사의 통신 프로토콜 및 프로그램이 상이하므로 연동이 불가하다는 점 다시한번 말씀드립니다.


    전기상담실의 다른 질의답변 중 전기저장장치와 무정전전원장치의 정의를 구분해놓고(첨부 참조), 기능적으로는 동일하게 적용하라고 하는 게 앞, 뒤가 맞지 않다고 판단됩니다. 협회에서도 인정하셨듯이 전기저장장치와 무정전전원장치는 엄연히 다른 시스템임을 인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KEC 문구 그대로 복사/붙여넣기의 답변이 아닌 해당 문구에 대한 현장 조치방안에 대한 현실적인 해석을 요청드립니다.

    리튬배터리에 대한 안전대책으로 KEC가 개정된 것은 이해하나, 문구에 대한 정확한 해석 및 현장 조치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여 답변 요청드립니다.


    답변글

    • 전기상담실
    • 2025-01-03

    1. 귀하의 대한전기협회 홈페이지 방문을 환영하오며, 귀하의 질의에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2. 귀하께서 무정전전원장치(UPS)와 전기저장장치(ESS)는 서로 다른 개념의 장치인데 UPS에 전지관리시스템이나 전력관리시스템을 설치해야 하는지 질의한 것으로 보입니다. UPSESS는 서로 다른 개념이지만 이차전지를 사용하고 유사시 부하 또는 계통에 연결하기 위해 전력변환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등 거의 동일한 기능의 장치이며 이차전지는 화재 등의 위험성이 있는 설비입니다.

     

    3. 따라서, 이러한 이차전지의 화재 등을 예방하기 위해 전지의 충·방전상태, 전류·전압 등을 상시 감시하는 전지관리시스템과 통신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전력관리시스템을 245.24 511.2.78에 의해 UPS에도 시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4. 무정전전원장치(UPS)의 전력관리시스템 관련하여 개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신다면, 첨부 양식에 따라 우리 협회에 제출해 주시면 관련 기술위원회에서 검토하도록 하겠습니다. .

     

    KEC 개정의견 제출방법

    https://kec.kea.kr/sub_coun/faq.php?mode=view&number=15&page=2&b_name=fa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