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상담실
안내 (Q&A게시판 안내사항)
우리협회 업무와 관련하여 궁금하신 사항을 질문하시면 신속하고 성실하게 답변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답변내용은 참조용으로 한정 사용되며, 법적인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특정현장의 설계방법, 설계내용의 가부 판정 또는 시공방법 등에 대한 내용은 상담이 불가합니다.
공학적 계산이 필요한 부분 또는 전공교재 등의 대한 내용 문의는 상담이 불가합니다.
질문하시기전에 자주 묻는 Q&A(FAQ) 또는 통합검색(SEARCH) 기능을 통해 검색해 보시면 보다 신속하게 궁금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10098] 232.3.9 수용가 설비에서의 전압강하 관련 질문
질의분야 : KEC > 전기 > 저압배선
안녕하세요. 고생이 많으십니다.
232.3.9 수용가 설비에서의 전압강하 관련하여 궁금증이 있어 질문 남겨봅니다.
일단 전압강하 기준을 보면 조명 / 기타 두가지로 분류되며,
저압은 계량기 2차측부터, 고압이상은 변압기 2차측부터 해당 부하까지의 전압강하를 말한다고 나와있습니다.
보통 실제 설계 및 시공 현장을 보면 전등전열분전반 / 동력분전반 두가지로 분리하여 각 부하까지 전기를 공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전등은 조명부하이니 저압 시 3%, 고압 시 6%의 전압강하 기준이 있고, 전열과 동력은 저압 시 5%, 고압 시 8%의 기준이 있습니다.
여기서 궁금증이 생겨 문의글을 남겨봅니다.
1. 만약 조명과 콘센트가 같은 분기회로에서 전원을 공급받고 조명과 콘센트가 같이 섞인 분기회로들이 모인 분전반에서 계량기나 변압기 2차측으로까지 갔다고 하면,
전압강하 기준은 조명과 기타가 같은 분전반, 같은 회로에 섞여있던 섞이지 않았던 아무 상관 없이
개별로 무조건 계량기나 변압기 2차측부터 해당 부하까지 조명이면 3%(혹은 6%)를 지켜야되고, 기타면 5%(혹은 8%)를 지켜야 되는 것일까요?
2. 아니면 조명과 기타부하가 섞여있으면 둘중 더 전압강하 기준이 가혹한 조명의 기준으로 부하~분기회로~분전반~계량기 혹은 변압기 2차측까지의 전압강하를 적용하면 되는 것일까요?
3. 혹은 조명과 기타부하가 섞여있으면 기타부하의 기준으로 부하~분기회로~분전반~계량기 혹은 변압기 2차측까지의 전압강하를 적용하면 되는 것일까요?
설계를 하다보면 계량기나 변압기 2차측부터 각 분전반을 거쳐 부하까지 가는 전압강하를 고려하여 전선도 설계하는데,
전등 / 전열 / 동력 분전반이 나누어져 있으면 각각에 맞는 전압강하 기준으로 설계하면 되는데 전등전열 / 동력 등 처럼 조명과 기타부하가 섞여있는 분전반으로 설계하게 되면,
그 분전반까지의 전압강하와 분전반에서 부하까지의 전압강하를 어떤 것을 기준으로 고려해야되나 고민이 생겨 글을 남겨봅니다.
감사합니다.
답변글
1. 귀하의 대한전기협회 홈페이지 방문을 환영합니다.
2. 귀하의 질의는 동일 배전반이나 변압기에서 조명과 기타부하가 혼재되어 분기 되었을 경우도 KEC 232.3.9의 전압강하 기준을 적용해야 하는지 아니면 둘 중 더 가혹한 조명의 기준을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으로 보입니다. 수용가설비에서의 전압강하는 조명과 기타부하가 혼재하여 분기하였는지와 관계없이 232.3.9의 표232.3-1를 만족하여야 합니다. 다만, 전압강하율 계산시 기준치는 저압수용가의 경우 계량기 2차측 전압이고 고압수용가의 경우는 변압기 2차측 전압을 기준으로 계산한 전압강하율입니다. (KEC 핸드북 p.318). (질의 1, 2, 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