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상담실

전기상담실

질문과 답변

안내 (Q&A게시판 안내사항)

우리협회 업무와 관련하여 궁금하신 사항을 질문하시면 신속하고 성실하게 답변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답변내용은 참조용으로 한정 사용되며, 법적인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특정현장의 설계방법, 설계내용의 가부 판정 또는 시공방법 등에 대한 내용은 상담이 불가합니다.

공학적 계산이 필요한 부분 또는 전공교재 등의 대한 내용 문의는 상담이 불가합니다.

질문하시기전에 자주 묻는 Q&A(FAQ) 또는 통합검색(SEARCH) 기능을 통해 검색해 보시면 보다 신속하게 궁금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댓글 내용을 남겨주세요. 최대 글자수를 초과하였습니다. 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7337] 접지 관련 문의 드립니다.

    • k○○
    • 2021.06.10 14:06
    • 7978

    안녕하세요 무더운 날씨에 고생이 많습니다.

    판넬 제작 업체 인데 접지 관련 문의 드립니다.

    ◎ 접지선 굵기 구하는 방법의 변경
    현재 - 메인 차단기 용량이 200A 일 때 0.052 × 200 = 10.4㎟ ⇒ 16㎟ 사용


    변경 후 - 상도체 단면적에 따라 선정
    EX) 3상 4선식의 메인 200A차단기에 95㎟ 의 전선이 들어와 1차측에 접속 되어있다면
    접지선도 50㎟ 를 사용해야 되는지요?

    답변글

    • 전기상담실

     

    1. 귀하의 대한전기협회 홈페이지 방문을 환영하오며, 귀하께서는 접지선의 굵기를 구하는 방법이 변경되는 것에 대하여 문의하여 아래와 같이 회신합니다.

     

    2. 귀하가 제시한 현재 계산방법의 출처가 불명확하나 현행 종별접지에 대한 접지선의 굵기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이하 판단기준) 19조를 참고하시기 바라며, 내선규정 부록 100-11은 접지선 굵기의 산정 기초 공식을 “A=0.046×In”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변경 후의 근거는 한국전기설비규정(이하 KEC)의 보호도체 굵기 산정식을 인용한 것으로 추정되므로 귀하 설비의 적용대상 설비 및 적용기준을 명확하게 구분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3. 또한, 기설 또는 신규설비인지 여부, 배선설계 방식, 접지방식, 귀하 현장의 전기안전공사계획신고(인가)일 등 여러 가지 여건을 고려하여 판단기준 또는 KEC 적용을 선택하여야 하는데, 20211231일 까지는 판단기준과 KEC 중에서 선택하여 적용이 가능하나(판단기준과 KEC를 혼용하여 적용하는 것은 불가), 202211일 이후부터는 KEC만 적용해야 하여야 하므로 판단기준과 KEC의 관계 및 경과조치 등은 우리 협회 FAQ 게시판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4. 끝으로, KEC의 접지도체 및 보호도체의 굵기 선정은 KEC 142.3을 참고하시되, KEC 142.3-1에 따라 선도체의 재질과 보호도체의 재질이 같고, 선도체의 굵기(S)35 이상일 경우보호도체의 최소 단면적은 S/2 이상 이어야 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우리 협회 FAQ 게시판

    http://www.kea.kr/front/bbs/board.php?ID=open01_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