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상담실
안내 (Q&A게시판 안내사항)
우리협회 업무와 관련하여 궁금하신 사항을 질문하시면 신속하고 성실하게 답변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답변내용은 참조용으로 한정 사용되며, 법적인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특정현장의 설계방법, 설계내용의 가부 판정 또는 시공방법 등에 대한 내용은 상담이 불가합니다.
공학적 계산이 필요한 부분 또는 전공교재 등의 대한 내용 문의는 상담이 불가합니다.
질문하시기전에 자주 묻는 Q&A(FAQ) 또는 통합검색(SEARCH) 기능을 통해 검색해 보시면 보다 신속하게 궁금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6354] 한국 전기 설비 규정에 관한 질문
내년부터 대한전기협회 기술 기준처에서 작성된 KEC 주요사항 요약자료를 당사에 적용가능 유무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몇가지 질문이 있으니 답변 주시면 대단히 감사드리겠습니다.
1. 바뀌는 조항들이 법적 구속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ex) 전선 구분에서 시공시 KEC식별 색상에 준하지 않고 시설하는 경우
ex) KEC베선 선정방식을 따르지 않고 기존의 방식대로 선정하는 경우
2. 접지 설계 방식
1)기존에는 1종,2종,3종, 특3종 방식을 고수하였으나 KEC에서 TN,TT,IT 방식을 하라고합니다.
현재 저희 공장에 적용된 방식은 TN 아니면 TT 인것 같습니다.
이것을 정확히 알려면 접지 단자함 및 접지 Cable 포설 경로 조사를 통해서 체크가 되는지 궁금 합니다.
==> 평상시에도 너무나 궁금하였습니다.
2)접지 보호도체 최소단면적
==> 차단시간 5초 이하의 경우 S=루트i^2*t/k 공식이 있는데 대부분 고장, 단락시 5초 이내에 차단하기 때문에
이공식을 적용 해야하는지요? 선정 방식의 예를 들어서 설명부탁드리고 k값에 대한 상세 Factor도 나와있지
않네요
3.과전류 보호장치 선정방식
1)보호협조에 대한 내용인데 상당히 현실적으로 다가서기 어렵습니다.
일단 용어부터가 좀 생소한데요
-전기회로 설계전류 (KS C IEC60364-5-52에 나와있는 선정인가요?)
-보호장치의 정격전류 (저압기준 배선용 차단기의 정격전류인가요?)
-도체의 허용전류 (케이블의 허용전류 인가요?)
-보호장치의 규약동작전류 (생소한 용어입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도체의과부하보호점 생소한 용어입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보호 협조에 대해서는 현실이 상당히 현장에 설득시키기도 어려운게 예를들면
-배선용 차단기 정격전류는 케이블 허용전류 보다 작아야 한다. 단순하게 이런것도
현장에 설명하고 적용할려면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특히 큰회사일수록 더 그런것 같습니다.
그럼 수고부탁드립니다.
답변글
1. 귀하의 대한전기협회 홈페이지 방문을 환영하며, 귀하의 질의는 한국전기설비규정의 법적 구속력과 KEC에서 규정한 접지설계, 과전류보호 장치 선정 등에 대한 문의로 판단되는 바,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2. 한국전기설비규정(KEC, Korea Electro-technical Code)은 국제표준과 다르게 운영되던 불필요한 규제와 불명확성을 해소하고 국제표준과의 부합화는 물론, 현행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을 대체하는 시설안전기준(의무기준 임)으로서 시행일은 2021.01.01이며, 통상 시행일 현재 이미 시설되어 있거나 전기공사계획 인가(신고)를 받은 것 또는 전력기술관리법 시행령 제18조제4항의 규정에 의한 자가 공고 시행 전에 사업승인, 인・허가를 얻은 것에 대하여는 종전의 기준에 따를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1).
○ 귀하 공장의 접지방식을 확인하는 방법은 TN, TT, IT 계통을 이해하신 다음, 귀하 공장의 접지시공과 관련된 도면 등과 비교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2-1).
○ 보호도체의 최소단면적을 구하는 방법은 KEC 142.3.2와 [표142.3-1]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계수 ‘k’는 KS C IEC 60364-5-54의 부속서 A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2-2).
○ 귀하가 질의하신 ‘과전류 보호장치 선정방식’은 KEC 어느 조항에 대한 내용인지 명확하지 않으나 KEC의 접지시스템, 감전보호, 안전보호 등과 관련된 용어는 국제규격인 IEC 규정을 번역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학술적 개념, 용어의 정의와 계산 사례 등은 본 게시판에서 교육이 어려운 점을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질의 3).
3. 아울러 우리 협회는 KEC 도입에 따른 ‘접지시스템 설계’, ‘등전위 본딩’, ‘감전 및 과전류보호 설계방법’ 등에 대한 기술지침서를 발간하고 이에 대한 교육도 시행하고 있으므로 많은 활용있으시길 바랍니다. 끝.
※ 「국가표준인증 통합정보시스템」 가기 ☞ https://www.e-ks.kr/
※ 대한전기협회 발행도서 안내 ☞
http://www.kea.kr/front/shop/list.php?ca_id=10
※ 2020년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KEC 해설교육 안내 ☞
http://www.kea.kr/front/bbs/board.php?ID=show04&UID=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