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상담실

전기상담실

질문과 답변

안내 (Q&A게시판 안내사항)

우리협회 업무와 관련하여 궁금하신 사항을 질문하시면 신속하고 성실하게 답변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답변내용은 참조용으로 한정 사용되며, 법적인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특정현장의 설계방법, 설계내용의 가부 판정 또는 시공방법 등에 대한 내용은 상담이 불가합니다.

공학적 계산이 필요한 부분 또는 전공교재 등의 대한 내용 문의는 상담이 불가합니다.

질문하시기전에 자주 묻는 Q&A(FAQ) 또는 통합검색(SEARCH) 기능을 통해 검색해 보시면 보다 신속하게 궁금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댓글 내용을 남겨주세요. 최대 글자수를 초과하였습니다. 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6249] 초보.

    • m○○
    • 2020.01.03 10:52
    • 15772

    안녕하세요.

    초보입니다.

     

    건물내부  시공현장에 전등,전열라인 전선으로 HFiX가 출시되면서 HIV는 화재에 약해 생산이 중단되어 HFIX 전선 사용을 하되 HIV 재고 소진까지 유예인지 알아보고자합니다.

    또한

    샌드위치판넬(가연성) 부분에 전기전선 (마감재 = 난연성재질등 사용시) 설치하는것이  저희 전기대한협회 내선규정 및 전기기술판단기준의 조항에 있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답변글

    • 전기상담실

     

    1. 귀하의 대한전기협회 홈페이지 방문을 환영합니다.

     

    2. HIV 전선은 과거 KS C 3328 규격에 의하여 생산되던 제품이나, '09.10.27 표준이 폐지됨에 따라 현재는 생산이 중지된 상태로서 당시 생산된 제품의 재고가 소진될 때까지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절연전선)에 따라 옥내배선에 사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최근에는 KS C IEC 60227-3 표준으로 제조된 제품도 HIV 전선이라고 호칭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바, 60227 KS IEC 05~08 규격으로 생산된 제품은 기기배선용으로서 옥내배선에 사용이 불가하므로 선정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3. 아울러 귀하가 문의하신 HFIX(저독성 난연 가교폴리올레핀 절연전선)KS C 3341에 의해 생산되는 절연전선으로서 HFIX, HIV전선에 대한 설명은 우리 협회 홈페이지 FAQ 게시판 14번 게시물을 참고하시기 바라며, 귀하의 질문처럼 HFIXHIV를 대체하는 전선인지 여부는 각각의 KS 표준을 비교하여 판단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또한, 가연성 부분에 사용하는 전선 등에 대하여는 소방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국가기술표준원 e-나라 표준인증 홈페이지    : https://www.e-ks.kr/

         소방청 홈페이지    : http://www.nf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