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상담실

전기상담실

질문과 답변

안내 (Q&A게시판 안내사항)

우리협회 업무와 관련하여 궁금하신 사항을 질문하시면 신속하고 성실하게 답변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답변내용은 참조용으로 한정 사용되며, 법적인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특정현장의 설계방법, 설계내용의 가부 판정 또는 시공방법 등에 대한 내용은 상담이 불가합니다.

공학적 계산이 필요한 부분 또는 전공교재 등의 대한 내용 문의는 상담이 불가합니다.

질문하시기전에 자주 묻는 Q&A(FAQ) 또는 통합검색(SEARCH) 기능을 통해 검색해 보시면 보다 신속하게 궁금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댓글 내용을 남겨주세요. 최대 글자수를 초과하였습니다. 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6209] KECG 1703_ 스트레스전압 검토 2차 질문사항

    • m○○
    • 2019.12.04 17:48
    • 16349









     

    답변글

    • 전기상담실

     

    1. 귀하의 대한전기협회 홈페이지 방문을 환영합니다.

     

    2. 게시판 특성상 1차 질의에 대해 자세한 내용으로 설명하지 못한 점 양해하여 주시기 바라며, 접지시스템 설계방법에 관한 기술지침(KECG 1703-2019) ‘부록 H’()고압 전로의 ()고압측에 1선 지락이 발생할 경우에 인체감전전압과 저압기기의 스트레스전압을 만족하는 접지저항 값을 구하는 예시로서 고장지속시간은 ()고압측에 시설된 차단장치의 차단시간(0.5, 0.2)을 예시로 작성되었으며, 허용접촉전압은 KS C IEC 61936-1 그림 12 (허용접촉전압 UTP)의 곡선에서 구한 값입니다.

     

    3. 또한, TN-bTT 접지계통의 접지저항 값을 구하는 지침서의 계산식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검토의견을 알리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고압 또는 특고압 사고시에는 저압측에 인가되는 스트레스 전압에 문제가 되는데, EPR이 저압기기에 걸리는 내전압 이하라면 만족하므로 기준을 내전압을 만족하는 EPR 값을 저압측의 대지전압을 포함하여 가정함으로서 가장 낮은 상태의 저항 값을 예시한 것임. 지침서의 내용은 5초이내 값을 적용하였으며, 다만 악조건 상황을 감안하기 위해 EPR 한계를 U0를 포함한 1,200V로 설정하여 계산하였음."

     

    계통이 비접지 혹은 저항접지 계통이라도 사고시 차단시간은 KS C IEC 61936-1에 따라(지침서 p.96 참조) 0.5초 이하로 설정함. 아울러 고장 차단시간이 짧을수록 허용 접촉전압 값이 크므로 가능한 짧은 시간을 적용함 (규정은 귀하가 제시한 내용이 타당하나, 실제 적용상 5초 이상은 불가함)”

     

    4. 아울러 우리 협회는 신기술이나 기술지침서와 관련된 다양한 교육을 시행중에(지침서를 기술한 전문위원을 강사진으로 섭외함) 있으므로 많은 활용 있으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