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상담실
안내 (Q&A게시판 안내사항)
우리협회 업무와 관련하여 궁금하신 사항을 질문하시면 신속하고 성실하게 답변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답변내용은 참조용으로 한정 사용되며, 법적인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특정현장의 설계방법, 설계내용의 가부 판정 또는 시공방법 등에 대한 내용은 상담이 불가합니다.
공학적 계산이 필요한 부분 또는 전공교재 등의 대한 내용 문의는 상담이 불가합니다.
질문하시기전에 자주 묻는 Q&A(FAQ) 또는 통합검색(SEARCH) 기능을 통해 검색해 보시면 보다 신속하게 궁금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10434] KEC 152.2 인하도선시스템
질의분야 : 기술기준 > 전기 > 접지·피뢰설비
제목 ; KEC 152.2 인하도선 시스템
1.귀협회의 일익 번창하심을 기원합니다
2.표제의 시스템에 의문 사항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질문 -
가. 152.2.나.(4) 병렬 인하도선의 최대 간격은 피뢰시스템 등급에 따라 1,2 등급은 10m,3등급은 15m, 4등급은 20m로 한다"에서 예로 건축물의
수평 투영 둘레 길이가 45m인 경우,▶① 45m를 20m(1개)+5m(1개)
간격으로 GV 전선 3가닥을 설치할 때도 자연적 구성부재인
철근콘크리트의 철근을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하는지?▶② GV 전선
2가닥 +자연적 구성부재인 철근콘크리트의 철근을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하는지? 문의 드리고,
나. 152.2.4 "인하도선으로 사용하는 자연적 구성부재는 KSC IEC 62305-3 의 3.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을 자연적 구성부재의 인하도선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철근 전체 길이의 전기 저항값은 0.2옴 이하가
되어야 하며, 전기적 연속성은 KSC IEC 62305-3의 4.3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강제 철근조의 전기적 연속성에 따라야 한다"에서 ▶① 인하 도선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철근 1가닥(해당 철근 전체 길이) 을 하부
연속성 측정 단자함부터 상부 연속성 측정단자까지 용접, 죔쇠, 엮음 등 접속 방법으로 접속하여 전기적 연속성 즉 0.2옴 이하가 되면 인하도선 으로 사용해도 되는지?▶②현재 건축 현장에서 수백~수천개의 가로 세로 철근을 동여 매기로 접속하여도 전기 저항값이 0.2Ω 이하가 되는데 이
것을 인하도선으로 사용해도 되는지?질문 올립니다.
추신 : 전기적 연속성 측정을 위해 포설한 GV 전선을 상하부 전기적 연속성 측정 단자함 사이에 GV 전선 25SQ 두 가닥(합 50SQ)를 상시에는 인하도선으로 사용하고 연속성 측정시만 측정용 전선으로 사용하면 인하도선의 요건을 만족하는지 질문 드립니다.
2025. 07. 11
김 혁 배상
답변글
1. 귀하의 대한전기협회 홈페이지 방문을 환영합니다.
2. KEC 152.2의 2는 인하도선을 별도로 배치할 경우의 시설기준이며 3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을 인하도선으로 사용할 경우의 시설기준 입니다. 따라서, 철근이 전기적 연속성과 0.2 Ω이하의 전기저항값을 만족하면 자연적구성부재의 인하도선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인하도선의 최대 간격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철근을 병행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질의 가 - ①, ②).
3.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을 인하도선으로 사용할 경우 전기적 연속성은 KS C IEC 62305-3의 4.3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질의 나 - ①).
4. 귀하 현장의 철근을 인하도선 으로 사용해도 되는지는 우리협회에서 판단이 어렵습니다. 인하도선 시스템의 재료는 KEC 152.2의 1“나”에 의해 KS C IEC 62305-3의 “표 6”를 따라야 하므로 질의에서 설명한 철근이 이에 적합한지 확인하여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질의 나 - ②).
5. 귀하께서 ‘추신’으로 질의하신 내용에 대하여는 KEC에서 규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끝.